∇큰어머니와 작은어머니
남의 파에서나 편지에서 ,≪백모≫, ≪숙모≫,라고 이르나 직접 부를 때에는 ≪큰어머니≫, ≪작은어머니≫, ≪큰어머님≫, ≪작은어머님≫이라 부른다. 일부 지방에서는 큰어머니를 , ≪맏아매≫라고 하는데 표준말이 아니다.
∇고모
직접 면대해서 부를 때에는 ≪고모≫라고 부르며 ≪고모어머니≫, ≪아주머니≫라고도 부른다. 남의 앞에서 이를 때도 같다.
∇고모부
≪고모부≫, ≪고모아저씨≫, ≪아저씨≫라고 부른다.
∇종숙, 재종숙
편지에서는 ≪종숙≫, ≪재종숙≫이라 이르나 직접 부를 때에는 ≪5촌아저씨≫, ≪아저씨≫, ≪5촌≫이라고 한다. 재종숙, 삼종숙은 모두 종숙에 준해서 부르고 큰아버지나 작은아버지와 같이 대접한다.
∇할아버지, 할머니
≪할아버지≫, ≪할아버님≫, ≪할머니≫, ≪할머님≫이라고 부른다. 편지에서≪조부≫, ≪조모≫, ≪조부님≫, ≪조모님≫이라고 쓰는 일이 있으나 직접 이렇게 부르지는 않는다. 남의 어른에게 자기 조부모를 이를 때는 ≪저의 할아버지(할머니)≫라고 한다. 일부 지방에서는 할아버지를 ≪큰아배≫, 할머니를 ≪아매≫라고 하는데 이는 표준말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