널뛰기
놀이유래:
널뛰기는 그네뛰기와 마찬가지로 조선민족의 전통적인 장쾌하고 건전한 녀성들의 놀이이며 민족체육의 하나이다.
지난날에 우리 민족의 녀성들은 해마다 음력 정월 보름날과 5월단오, 팔월추석 등 명절이오면 옷을 차려입고 재미나는 널뛰기를 하면서 즐겁게 놀았다.
널뛰기는 설비가 복잡하지 않고 특별히 넓은 장소도 필요되지 않으며 어느때에나 간단히 놀수 있기 때문에 어린 처녀들로부터 부인들에 이르기까지 모든 녀성들이 다 즐기는 놀이이다. 널뛰기는 유쾌하고 흥미있는 놀이인 동시에 녀성들의 신체단련에도 매우 유익한바 속담에 ≪정월에 널뛰기를 하면 그해에는 발바닥에 가시 들지 않는다.≫고 한 것은 녀성들이 널뛰기를 하면 몸이 단련된다는 뜻이다.
널뛰기는 크고 긴 널판의 중심부분밑에 목침이나 또는 짚묶음, 가마니뭉치따위를 괴여놓은 다음 널판중간에 한사람이 서거나 앉고 널판 두끝에 한사람씩 올라서서 서로 탄력을 리용하여 공중으로 솟구쳐오르기와 내리구르기를 엇바꾸어 반복하는 식으로 진행되는 놀이이다.
널뛰기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데, 높이 뛰여올라 한바퀴 돌아내려오기, 허리를 뒤로 젖혔다가 내리뛰기, 발을 앞으로 쭉 폈다가 내려오기, 손을 자유롭게 놀리면서 발의 앞뒤 또는 옆으로 벌리면서 률동적으로 뛰는 방법들이 그 실례로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