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갑잔치(回甲宴,還甲宴) 절차
손님초청
어버이가 회갑(61세)을 맞이하면 아들딸은 적당한 날을 잡아 회갑잔치계획을 세우고 미리 친척과 친지에게 초청한다.
새옷단장
회갑날이 되면 아침에 어버이께 새옷을 입혀드려서 곱게 단장한다. 만일 할아버지, 할머니께서 살아계시면 회갑당사자에게 오색무늬옷을 입게 한다.
큰상차림
일가친척이 모여서 서로 도우며 경사스러운 술을 드릴 큰 상을 중앙에 차린다. 차림표는 일정한 규격은 없으나, 회갑을 맞이하는 분이 앉을 좌석을 중심으로하여 잡수시기 좋고, 상앞에서 자손이 축수술잔을 올릴수 있게 위치를 잡는다.
축수술잔 드림(祝壽)
정한 시간이 되면 아들딸은 어버이를 모시어, 큰상중앙에 자리하여 앉게하고, 어버이의 가까운 어른(할아버지, 할머니, 백숙부모, 고모)이 있으면 곁에 모신다. 모두 자리에 앉으면 사회자가 회갑잔치 거행을 선언한 다음, 큰아들내외부터 앞에 나아가 축수하는 술잔을 올리고 절한다음 물러나온다. 이렇게 가족이 축수술잔을 올림과 동시에 헌수하는 글이나 시가 있으면 랑독한다.
음식잔치
자손의 축수술잔이 대강 끝나면 가족은 큰상앞으로 손님잔치상을 차려낸다. 여러 손님이 잔치상에 앉으면 사회자가 음식을 즐겁게 들도록 권한다. 이에 손님은 자유롭게 술과 음식을 들며 특별히 축수술을 드릴 사람은 큰상앞으로 와서 인사하고 술을 드리거나, 축하의 글월이나 시를 지었으면 읽어드린다.
흥겨운 놀이
모든 사람이 빠짐없이 술과 밥을 먹고나면 큰상을 비롯하여 잔치상을 걷고, 놀이마당을 펼친다. 악기를 연주하며 노래와 춤으로 즐겁게 놀아주는것이 이날의 도리인 즉 '얼씨구 절씨구' 신나게 놀아서 오래산 기쁨을 누리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