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전(設奠)
상을 당하고 처음 지내는 제사. 습전(襲奠)이라고도 한다.
반함(飯含)
렴을 하기전에 시신의 입에 구슬 또는 엽전과 쌀을 떠넣어 주는것을 말한다.
※ 여기까지가 습례(襲禮)이다. 시신은 다시 이불을 덮어 시상에 모신다. 렴습이 끝나면 모든 기물을 태울것은 태우고, 묻을것은 묻어서 없앤다. 다음에 령좌(靈座)를 꾸미고 혼백(魂帛)을 만들고 명정(銘旌)을 만들어 세운다. 이 의식이 끝나면 가족, 친척, 친구들이 들어가 곡을 한다.
혼백(魂帛)
신주(神主)를 만들기 전에 삼베 또는 백지를 접어서 만드는데, 신주를 만들지 않는 경우 빈소에 모셨다가 대상(大祥)이 지난후에 묘소에 묻는다. 접은 혼백에 오색실로 만든 동심결을 끼워 혼백함에 넣어 모신다.
소렴(小殮)
사망한 이튿날아침에 수의를 입히는 절차.
소렴이 끝나면 시신을 시상에 모시고 곡을 한다음 상제들은 풀었던 머리를 걷어올리고, 남자는 포두건(布頭巾), 베중단을 입고 자리에 나가 곡을 한다.
대렴(大斂)
소렴이 끝난뒤 시신을 입관하는 것. 죽은지 삼일째 되는날 새벽 동틀때 하는 의식.
성복(成服)
대렴이 끝난 이튿날, 죽은지 나흘째 되는날 하는 의식. 오복(五服)의 사람들이 각각 복을 입고 제자리에 나가 조곡(朝哭)을 하고 서로 조상(弔喪)한다. 조상을 할때는 오복의 차례대로 행하는데, 자손들은 조부와 아버지앞에 가서 꿇어앉아 슬피 운다음 조모 및 어머니 앞에 가서 또 이와같이 한다. 녀자는 먼저 조모와 어머니앞에 가서 곡한 다음 조부 및 아버지앞에 가서 남자의 의식과 같이 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