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옥의 입지도 전통적으로는 자연환경 및 풍수지리설에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최근 도시지역에 건축되는 많은 가옥의 위치나 방향은 접근이 쉬운 도로를 따라서, 또는 도시계획에 의하여 정리된 구획형태에 따라서 배열되고 있다. 이러한 외형적 변화는 물론 주생활 자체도 사회 전반의 서구화 추세에 따라 크게 변화하고 있다.
스테인레스 스틸로 된 조리대, 바닥이 높아져 마루나 방과 똑같은 높이의 평면이 된 입식 부엌, 목욕탕 설비, 수세식 좌변기가 갖추어진 현대식 주택이 등장하여 널리 보급되었다. 이러한 시설의 확충은 수도의 일반가정 보급과 난방 및 취사연료의 변화를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동선이 길고 조리자세가 불편한 재래식 부엌의 작업환경의 변화는 나무를 때던 아궁이가 연탄아궁이로 바뀌고, 다시 보일러를 사용한 중앙난방 방식이 보급되고, 수도가 부엌 안까지 들어오고, 거기에 난방연료와 취사연료가 분리, 사용됨으로써 이루어졌다. 1980년대 도시가스가 개발되어 가스의 지역별 집단공급 방식이 대두되어 연탄의 비중은 계속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