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개호 대백어 찜요리.
"2022 흑룡강 랭수어 · 겨울철 어렵 시즌'이 시작되면서 목단강의 경박호, 무원의 우쑤리강 ...… 룡강은 이르는 곳마다 싱싱한 생선요리가 사람들의 입맛을 당기는 모습이 펼쳐졌다.
할빈시 송북구 룡강제1촌의 "생선시장축제"현장에서 시민들이 막 잡아올린 특색 호수 생선을 고르고 큰 솥에 끓인 줄철갑상어탕을 맛보며 추운 겨울에 뜨거운 열기를 불어넣고 있다.
"흑룡강은 랭수어 품종이 다양하고 육질이 쫄깃하며 싱싱하고 영양이 풍부합니다. 3화5라18자, 72잡어'로 유명하죠. 중국의 '4대 유명 담수어' 중에서 흑룡강에는 흥개호 대백어와 송화강 쏘가리 두가지나 있습니다." 진위흥 흑룡강성 록색식품발전센터 평가 전문가이자 흑룡강북어어업그룹 기술고문이 소개했다.
룡강 랭수어 맛의 비결은 무엇일가? "국내 다른 지역에 비해 흑룡강류역의 어류들은 내성이 강하고 저산소에 잘 견디며 생장잠재력이 크고 품질이 좋으며 식감이 좋은 등 장점을 갖고 있다"라고 중국수산과학연구원 흑룡강수산연구소 부소장이자 농업농촌부 담수수산생물기술 및 유전육종 중점실험실 주임인 정선호 박사가 소개했다.
그의 소개에 따르면, 흑룡강 랭수어의 품질 특징은 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어육 구성성분을 보면 고랭 환경에 처해 있는 흑룡강 어류는 생장이 느리고 생장 시간이 길어 어류당, 지방산, 아미노산, 특히 신선한 아미노산 등 영양물질의 축적에 유리하다. 그리고 어육 근섬유가 부드럽고 밀도가 크며 근섬유 면적비율이 큰데다가 탄력이 좋고 어육 전단력이 작으며 함수력이 큰 등 품질 형질 면의 장점이 뚜렷하다. 그래서 식감이 부드럽고 쫄깃하다. 어류의 생장방식으로 볼 때 흑룡강성에서 양식하는 어류의 1무당 평균 방사밀도와 단위당 어획량이 낮은데다가 년간 어획시간이 겨우 5개월밖에 되지 않아 어류는 자극을 적게 받고 사료를 적게 먹으며 병에 잘 걸리지 않는다. 량호한 수질 생태환경과 한랭한 기후는 어류 생장 수역의 자체 정화에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고 수역의 "부영양화"의 발생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역 진흙 침적이 느리고, 이취를 유발하는 일부 람록균과 방선균 등 미생물이 적기때문에 생선은 대부분 "흙냄새"가 나지 않고 맛이 신선하다.
사람들이 겨울철 어렵을 선호하는 원인에 대해 정선호 박사는 흑룡강지역이 12월 중순에 접어들면 기온과 얼음밑 수온이 낮아져 어류들은 행동이 느려지고 집단적으로 서식하며 월동하므로 어렵과 저장이 편리하기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게다가 설명절이 다가옴에 따라 어류 시장 수요가 늘어나므로 흑룡강성 각지에서는 기후, 지리환경 등 요소와 결부하여 겨울철 어렵활동을 적당히 전개해 맛 좋고 질 좋은 랭수어를 전국에 공급하고 있다.
출처: 흑룡강일보
편역: 전영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