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룡강신문=하얼빈) 일부 비리의 온상으로 비판받아 온 중국 지방정부의 '주(駐)베이징 대표처'(駐京辦)들이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등 양회(兩會) 이후 철수를 시작한다.
양회에 참가한 호북(湖北), 감숙(甘肅), 산동(山東), 강서(江西)성 대표들은 양회 이후 베이징대표처를 철수할 뜻을 밝혔고 다른 10여개 성도 철수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호북성 부비서장인 주창웨이(朱常渭) 주베이징 대표처 주임은 호북은 베이징에 현급을 비롯해 모두 30여개의 대표처가 있다고 밝히고 이 대표처들은 이번 양회 이후 철수를 시작한다고 말했다.
한 현급 대표처의 직원은 고향에서 춘제(春節)도 제대로 지내지 못하고 베이징으로 긴급 소환돼 철수 준비에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고 털어놓았다.
국무원은 지난 1월 지방정부의 중앙 정부에 대한 로비를 없애고 예산 낭비를 줄이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베이징 대표처 관리 강화 및 규제에 관한 문건을 마련, 6개월 이내에 베이징대표처를 철수하라고 지시했다. 베이징에는 부성장급 이상 단위의 대표처는 52곳이지만 시급 기관은 520개, 현급 기관은 5천여개나 되며 각급 기관의 직능단위별 사무소와 각종 협회, 국유기업, 대학 등을 모두 합치면 1만여개의 대표처가 설치돼 있다.
이번 조치는 베이징 대표처 전부를 없애는 것은 아니지만 일선 기관들이 경쟁적으로 설립한 대표처의 상당 부분이 철수돼 '교통정리'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정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