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4회 베이징 문화창의산업 행사 중 한가지인 예술공연의 한 장면. |
(흑룡강신문=하얼빈)문화창의산업은 현재 중국 산업혁신의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얼마전 성과적으로 막을 내린 제4회 중국 베이징 국제문화산업창의 박람회는 짧은 5일간의 일정임이였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을 망라한 세계 각 지의 문화창의산업 전시로 무수한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또 이를 계기로 유네스코와 미국, 영국, 독일 등 30개 나라와 지역의 문화산업 리더들은 베이징을 찾아 중국정부와 관련 업계를 대상으로 광범위한 교류를 진행하면서 문화창의산업의 국제협력을 논의했다.
이번 대회기간 "문화혁신의 활력을 불러일으켜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촉진한다"라는 주제를 둘러싸고 여러 분야에 걸쳐 다양한 행사들이 펼쳐졌다. 전시회를 비롯해 고위급포럼, 홍보교역회, 창의행사, 예술공연 등 5대 분야에서 수십개의 행사들이 마련되였는데 한결같이 중국 문화창의산업이 가속발전 단계에 진입해 새로운 성장 기회를 맞이했다는 내용을 두드러지게 강조했다.
이번 제4회 문화산업박람회는 지난 3차례에 비해 규모적으로도 크게 확대되였다. 1천5백여개 국내외 문화창의산업 관련 업체들이 이번 행사에 참가했는데 현재 나라에서 중점적으로 권장, 지원하고 있는 문화창의 산업의 여러 분야가 모두 망라되였다.
박람회 조직위원회 판공실 부주임인 베이징무역촉진회 추샹인(储祥银) 부회장은 "올해의 문화산업박람회는 문화창의 산업화의 급속한 발전모습을 잘 반영했다. 일부 은행들은 기업과의 합작을 선택하고 문화기업에 자금지원을 해주는 것으로 문화기업의 발전을 견인했다. 초보적인 통계에 의하더라도 의향서와 계약서를 체결한 프로젝트가 332개에 달했고 전체 규모는 55억2천만 달러에 이르렀다. 관련 분야는 예술공연, 박물관, 광고전시회 등 9대 분야다"고 말했다.
박람회의 하이라이트는 문화창의산업의 프로젝트 홍보전시전이었다. 참가를 신청한 중국 각 성 시가 모두 가장 이색적인 문화산업과 제품을 선보였다. 베이징 차오양구 문화창의산업발전센터의 펑춘이우(丰春秋) 주임은 "조양구에서는 이번 문화산업창의박람회에 36개 업체가 참가했다. 이들은 조양구 9대 업종, 2만2천여개 문화창의산업 관련 업체들의 발전 성과를 개괄 전시했고 지난 5년간 조양구 문화창의산업의 발전 과정을 조명하면서 조양구 문화창의산업의 새로운 특점과 새로운 우세, 새로운 발전 기회도 보여줬다"고 말했다.
문화적이고 민족적인 친근성 때문인지 '대북창의정품관'이 이번 박람회에서 특별한 주목을 받았다. 박람회기간 대만 지역 소재의 73개 문화창의 기업체들로 구성된 '대북창의정품관'이 자신감을 가지고 모습을 드러냈는데 200여개의 전시부스로 대북 문화창의산업계의 우세 프로젝트들을 전시했다. 대북 자금성은 단독으로 300여가지 창의 상품을 출시했다. 대만 대표단은 이번 박람회를 통해 의향서 체결을 비롯해 총 2220만원 인민폐 규모의 교역을 달성했다.
대북시 부시장 리융핑(李永萍) 여사는 이번 박람회 참가 대만 대표단 규모와 관련해 연속 3회 참가중 가장 큰 규모였다고 소개했다. 또 대북 자금성박물관 직원 허춘스(何春实) 여사는 "지난해 저희가 문화창의박람회에 참가하고 돌아간후, 대륙에서 대만을 방문한 관광객들이 즐겨 찾는 관광명소 3위권에 항상 자금성이 들어있었다. 저희는 대만을 찾는 대륙 관광객들이 가장 먼저 찾는 곳이 대북 국립 자금성 박물관이라는 사실과 더불어 전시품을 돌아보고나서 대부분 사람들이 기념품매점에 들려 식구나 친구들에게 줄 선물을 구입하는 것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지난 문화창의산업박람회에 비해 이번 박람회의 고위급 포럼이 내용면에서 더욱 풍부해 졌다. 메인 포럼인 '중국 문화창의산업 발전 국제 포럼'에 더욱 많은 국내외 문화창의 업계의 리더들이 몰려들었고 이들은 문화창의산업과 지속적인 경제성장, 자본시장과 문화창의 등의 의제로 열띤 토론을 벌였으며 최근년간 중국의 문화산업 발전을 높이 평가하고 중국과의 합작 강화를 희망했다.
/중국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