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룡강신문=하얼빈) = 주택: 조선족 가옥은 나무로 틀을 짜고 지붕은 4개 경사면을 이루었으며 볏짚 혹은 기와를 올린다. 벽은 토담이고 석회를 칠한다. 현재는 벽돌과 기와 집이 날로 늘어나고 있다.
음식: 주식은 입쌀이고 국물은 일상 식생활에 없어서는 안되는 한가지 음식이다. 개고기, 소고기, 닭고기, 바닷물고기, 김치, 고추장을 즐겨 먹으며 양, 오리, 거위 및 기름진 음식은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개고기는 일반적으로 국을 끓이고 삼복절에 많이 먹는데 무더운 여름철에 몸보신으로 한다. 전통풍미음식에는 찰떡, 냉면, 장국 등이 있다.
의복, 장신구: 흰색 옷을 즐겨 입어 '백의민족'이라 이름났다. 여성들은 짧고 편한 복장에 긴 치마를 입는데 색상은 산뜻하고 아름다우며 분홍색, 하늘색, 연녹색 등이 있다. 남성들은 희색의 짧은 상의에 조끼를 입고 바짓가랭이는 넓으며 책상다리를 하고 앉는다. 바지의 단에 명주 끈을 매고 외출시 장포를 입는다. 아가씨와 젊은 부인들의 드레스는 오색찬란하고 눈부시며 짙은 민족특색을 담고 있다. 어린이들의 상의 옷소매는 '칠색단(7가지 어울리는 비단색)'으로 만들어져 입으면 무지개가 몸에 그려진 것 같다. 이는 조선족이 무지개는 광명과 아름다움의 상징이라고 인정하기 때문이다.
결혼 풍속: 신랑 혼례와 신부 혼례가 있다. 신랑이 말을 신부를 맞이하러 떠나 신부의 집에서 진행하는 혼례를 신랑혼례라 한다. 신부가 가마를 타고 신랑네 집에 와서 진행하는 혼례를 신부혼례라 한다. 결혼식날 저녁, 친척들과 청년남녀들은 신랑 신부와 함께 오락활동을 진행, 노래와 춤으로 밤 깊게까지 이어간다.
장례: 도시에서는 주로 화장, 기타 지역에서는 토장한다.
명절: 춘절, 정월대보름, 청명, 단오, 중추절, 노인절 등이 있다.
예절: 조선족은 예절을 중요시하고 매우 강구하고 있다. 부모와 어른에 대한 효경은 조선민족 전통적 미덕이다. 아랫사람이 웃사람에게 말을 건늘 때 반드시 경어를 사용해야 한다. 동배 간에 처음 만났을 때도 경어로 예의를 표한다.
식사를 할때, 먼저 노인에게 독상을 차려드리고 노인이 숟가락을 든 후에야 같이 먹는다. 식사 시, 숟가락을 국사발 안에 넣고 밥상우에 놓여 있으면 이미 다 먹을 것을 뜻한다. 후배는 선배 앞에서 술이나 담배가 금지돼 있으며 집안 행사에서 젊은이와 노인이 동석을 피면하지 못하는 경우, 젊은이는 술잔을 뒤로 돌려 마시면서 노인에 대한 존경을 표한다. 흡연시, 젊은이는 노인에게서 불을 빌지 못하며 받지도 못한다. 그렇지 않는 경우, 불경 행위로 간주된다. 웃사람과 함께 길을 걸을 때 아랫사람은 반드시 웃사람의 뒤를 따라야 하고 급한 일로 먼저 앞서 걸어야 할 경우 공손하게 사연을 말한다. 길 가는 도중에 웃사람이 걸어오면 아랫사람은 길 옆에 돌아서면서 인사를 한다. '선족'이라 부르는 것을 기피하며 혼례와 장례, 명절 기간 개를 잡지 않고 개고기를 먹지 않는다.
부모 출생 60주년의 날에는 자녀가 '환갑'을 차려준다. 이날 자녀, 친척들이 모여 새 옷차람을 한 부모님을 중간에 모셔 앉히고 성장을 한 자녀들은 선후 순으로 절을 하고 술을 부어올린다. 예의식이 끝난 후 기타 손님들을 접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