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룡강신문=하얼빈)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는 러시아가 보낸 특별열차에 탑승해 1909년 10월25일 밤 11시에 장춘역을 출발해 북쪽으로 달려 이튿날 오전 9시께 하얼빈역에 도착했다.
그가 대기 중이던 러시아 대장 대신 코코프체프의 객차 내 영접을 받고는 20분 정도 뒤에 흰 수염을 날리며 열차에서 내려 러시아 군대의 영접을 받았지만 이내 총성 여섯 발이 울리면서 역은 아수라장이 됐다. 이토가 총에 맞은 것이다.
어찌할 줄 모르던 수행원들은 이토를 열차 객실 안으로 도로 옮겨 응급 처치를 시도했지만, 30분만에 절명하고 만다.
성균관대 사학과 구태훈 교수는 안중근과의 가상 대담 형식으로 안중근 일대기를 정리한 근간 '안중근 인터뷰'(재팬리서치 21)에서 이토가 안중근이 쓴 총에 맞고 절명하기까지 걸린 시간이 안중근에 대한 검찰 조서에서는 15분으로 돼 있다는 기록도 소개했다.
구 교수는 피격 후 사망하기까지 이토가 어떤 말을 남겼다는 증언에 대해서는 부정한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이토는 '누가 총알을 쏘았지?' 하고 물었고, 곁에 있던 비서관이 '한국인 청년이라고 합니다'라고 알리자, '그런가, 어리석은 놈'이라고 말하고 숨을 거두었다고 한다. 그것은 꾸며낸 말일 가능성이 크다. 이토의 상처는 너무나 깊었다.…총을 맞은 다음에 혼수상태로 있다가 말 한마디 못하고 그대로 사망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224쪽) 구 교수의 추정대로 이토는 말 한마디 못하고 사망했을까.
무엇보다 절명하기 전 이토가 '어리석은 놈'이라고 했다는 출처의 원전을 철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토의 하얼빈 방문을 수행했고, 안중근 의거를 눈앞에서 지켜본 모리 다이지로(森泰二郞(1863-1911)라는 인물이 있다. 일본 궁내대신 비서관 신분으로 궁내성 명령에 따라 이토를 수행한 모리는 같은 해 11월15일 이 사건과 관련한 참고인 진술을 검사에게 했다.
이 참고인 진술서는 안중근 자신의 증언과 함께 그의 의거를 생생하게 증언한 제1급 자료라는 점에서 많은 주목을 받았으며, 다행히도 그것을 필사한 자료가 국사편찬위원회에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