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룡강신문=하얼빈) = 중국에서 도매시장은 약 9만개로 알려졌는데 성급이나 또는 전국적인 도매시장은 약 500개 안팍이다. 이러한 대형규모시장들의 업종별로 간단히 보면 아래와 같다.
1.1차상품 및 토산품
대부분 생산지나 전통적인 재래시장에서 발전되었다. 수산물,버섯,과일,인삼,차,옥,보석,도자기,오동나무,진주,소등 가축,산채등이 그러하다. 중약시장은 전통적 재래시장에서 발전되었는데 규모와 특색
으로 흔히 16강이니 10강으로 우열을 기르기도 한다.
단산의 수산시장, 산동수광의 채소시장, 경덕진의 도자기시장, 북해의 진주시장, 자연송이의 운남중전시장, 안국사의 중약시장 등등은 동업종에서 독보적 규모라 할수 있다.
2.공산품
생산지 위주로 형성되었는데 주강삼각지와 장강지역, 온주, 하문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조명기구는 광동 고진과 온주에 큰 시장이 있으며 가구시장은 광동 동관과 순덕의 외곽지역 양쪽도로변에 길게 자리잡고있고 18자 칼로(브랜드이름) 유명한 양강에는 칼과 연관된 시장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었으며 넥타이는 절강승주시에 스카프를 같이 취급하는 시장이 대단위로 발전되었으며 욕조용품과 내의제품 알미늄제품의 대단위 생산지인 남해에 해당품목의 유통시장이 지역정부의 정책적 육성으로 태동되기 시작하고 있다.
3.방직품시장
원단시장은 산토 광주 소흥 웨방 석시 서초 영파 해청등에 형성되었는데 규모로는 소흥의 경방성시장이 제일 큰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광주에 방직품시장이 2~3군데에 특색있게 분포되었는데 딴지역시장보다 상대적으로 수입제품이 많이 거래된다. 불산의 서초시장은 전통있는 시장으로 방직품 경기변동의 풍향계역활을 하고 있다.
의류시장은 광주, 영파, 심양, 오애, 해성, 석가장, 태평 등지에 형성되었는데 이후 발전이 주목되는 시장은 태평시장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리고 쉐타 니트만 취급하는 단일품목시장도 주 생산지인 동관과 장치에 특색있게 자리잡고 있다.
4.잡제품시장
이우, 린이, 광주, 온주 부근, 심양, 무한 등지에 업종별로 상권이 형성되었는데 주변의 생산공장의 밀집성, 교통의 편리성 등을 기반으로 형성되었다.
5.생산원료시장
전자부품은 심천, 플라스틱원료는 영파, 자전거부속는 태주, 의류부자재는 온주, 화공원료는 광주, 남경에 지역경제의 성격에 맞게 나란히 형성되었다.
6.중국에서 최대의 시장 밀집지역은 이우, 소흥, 광주, 린이 등지이며 전문시장의 형성지역은 3지역으로 주강삼각지, 복주.온주 부근 장강지역(남경.항주.여파.상해 부근)이라 할수 있는데 개방정도와 경제력집중지역과 대략 일치하다.
/신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