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상 스케이트를 신고 달리는 스포츠.
13세기 네덜란드에서 시작되었다. 조직적인 국제대회는 19세기말에 시작되었으며, 1924년 제1회 동계 올림픽 대회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오늘날의 스피드 스케이트의 날은 아이스하키나 피겨 스케이트의 날보다 길고 얇다. 날은 얼음판에서 체중이 실릴 때 거의 직선을 그린다. 스케이트가 빙상을 달릴 때 스트로크의 마지막 1m 정도만 바깥쪽으로 약간 구부러진다. 스케이트로 얼음을 1번 지치는 것을 스트로크라고 하는데, 스트로크의 길이는 영국의 챔피언이었던 윌리엄 스마트가 활약했던 19세기 중엽 이후 차츰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그는 스트로크 1번으로 11~16m나 전진했다고 한다. 9m를 넘는 경우가 드물고, 대개는 5~6m이다.

국제 스피드 스케이팅의 코스는 양쪽의 직선 코스와 그 양쪽 끝을 잇는 곡선 코스로 이루어진다. 곡선의 반지름은 코너를 돌 때 속력을 늦출 필요가 전혀 없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선수들은 2차선에서 1번에 2명씩 달리며 시간이 기록된다. 각 선수는 자신의 코스를 지켜야 한다. 대륙식 코스에서는 유리한 안쪽 곡선을 두 선수가 번갈아 차지하도록 되어 있고, 두 선수가 트랙을 바꾸는 지점에서는 트랙 사이의 공간이 개방되어 있다. 공식 트랙의 길이는 400m이다. 세계선수권대회는 매년 국제 스케이팅 연맹의 감독하에 남자 500m·1,500m·5,000m·1만m, 여자 500m·1,000m·3,000m·5,000m로 나뉘어 펼쳐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