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상 위에서 혼자 또는 짝을 이루어 우아한 몸놀림으로 정확한 선회동작을 연기하는 종목.
경기용으로 사용되는 특수한 피겨 스케이트의 날 부분은 가운데가 비어 있고 양 끝날이 강조되어 있으며 발가락 부분 쪽의 날은 톱니 모양으로 되어 있다.
피겨 스케이팅에 대한 최초의 전문서적은 1772년 로버트 존스 대위가 펴낸 〈스케이팅에 대한 논고 A Treatise of Skating〉이다. 당시의 피겨 스케이팅은 다소 답답하고 딱딱한 형식을 갖고 있었으나, 1864년에 미국인 무용 교사인 잭슨 헤인스가 무용에 기초한 피겨 스케이팅 기술을 유럽에 소개하면서 피겨 스케이팅의 형식이 크게 변하게 되었다. 1892년에 세계 스케이팅 주관 단체인 국제 스케이팅 연맹(International Skating Union/ISU)이 설립되었다. 1908년부터 ISU는 그때까지 독자적으로 개최되고 있던 세계 스케이팅 선수권대회를 감독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에 페어 스케이팅이 처음 소개되었다. 1908년 올림픽 대회에서 남자부·여자부·페어부 등 3개 종목으로 이루어진 피겨 스케이팅 경기가 공식종목으로 채택되었다. 그후 1924년에 첫 동계 올림픽 대회가 개최되기 전까지는 올림픽 대회 종목으로 채택되지 못했다.

남자 피겨 스케이팅과 여자 피겨 스케이팅 모두 규정종목과 자유종목의 2종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2종목 모두 같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규정종목에서는 주최측에서 요구하는 동작을 연기하게 되어 있고, 자유종목 또는 선택종목에서는 정해진 시간 안에 선수 자신이 구성한 동작을 연기한다. ISU는 국제경기에 필요한 규정동작의 목록을 발간하며, 각 동작은 난이도에 따라 1~5등급으로 구분된다. 단식 부문에 출전하는 선수들은 시합이 시작되기 몇 분 전까지 대회의 규정동작을 알 수 없게 되어 있다. 선수들은 제비뽑기를 하여 이미 알려져 있는 많은 동작들 가운데에서 규정종목을 결정한다. 각 선수들은 주어진 동작을 3번씩 연기하게 된다. 선수들이 동작을 마치게 되면 심판들은 각기 동작에 대한 점수를 매긴다. 동작의 정확한 모양, 회전, 3회 연속동작, 동작의 크기, 동작을 연기하는 자세 등이 모두 득점을 좌우하는 요인들이다. 자유종목에서는 연기의 구성과 동작 2가지에 중점을 두어 점수가 주어진다.
페어 스케이팅에서는 남자와 여자가 짝을 이루어 함께 스케이트를 타는데, 연기내용은 이미 잘 알려져 있는 자유종목의 연기내용과 같고 주로 조화를 강조하여 동작을 펼친다. 페어 스케이팅은 뒤늦게 발달한 아이스 댄싱과 비슷하지만 아이스 댄싱과는 달리 리프트 동작을 연기해야 한다. 리프트란 남자선수가 파트너인 여자선수를 빙판 위로 번쩍 들어올리는 동작인데 아이스 댄싱에서는 이 기술이 허용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