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언론 외교문서 공개 보도
(흑룡강신문=하얼빈)=사토 에이사쿠 전 일본총리가 중국의 첫 핵실험 직후인 1965년 1월 미국을 방문, 일본이 중국으로부터 핵공격을 받을 경우 핵무기를 리용해 보복공격을 해줄것을 요구한것으로 22일 확인됐다.
교도통신 등 일본 언론들은 이날 공개된 일본 외교문서에서 이 같은 사실이 드러났다며 당시 사토 전 총리는 로버트 맥나마라 미국 국방장관에게 “(일본이 핵공격을 받으면) 미국이 즉각 핵 보복을 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 서류는 공개되자마자 일본 국내에서 강렬한 반향을 일르켰는바 일본 매체와 학자들은 다투어 일본정부의 '비핵 3원칙'은 극히 허위적이다고 비난했다.
사토 전 총리는 1964년 10월 중국이 실행한 핵실험을 념두에 두고 미국의 일본에 대한 '핵우산'을 보증해 줄것을 요청, 린든 존슨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내가 보증한다”는 언질을 받았다. 그는 이어 맥나마라 장관과의 회담에서“전쟁이 일어날 경우 미국은 즉각 핵공격을 포함한 반격을 해달라”고 요구했다.
사토 전총리는 '핵무기를 소유하지도, 제조하지도 않으며 핵무기를 수입하지도 않는다.'는 '비핵 3원칙'을 창도해 세계에 널리 이름을 날림과 아울러 이로인해 1947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때문에 일본국내는 이번에 공개된 외교문서에 깊이 주목, 모든 주류매체들에서 다투어 제1시간에 이에 대해 보도했다. 교토통신은 이번 사건은 사토 전총리의 '비핵정책'의 허위성을 여실히 반영하고있다고 분석했다.
와세대대학 한 국제정치학교수는 일본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원자탄폭발 피해를 입은 국가이다. 하지만 일본정부의 '비핵화'주장은 오히려 세계상에서 아무런 영향력도 일으키지 못하고있다. 그 원인중의 하나는 일본이 미국의 '핵보호'를 접수했기 때문이다. 이번에 공개된 사토 전총리의 발언은 이 모순을 적라라하게 발가놓았다고 가차없이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