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룡강신문=하얼빈 2007. 01.09)
중국 길림성 연변 조선족자치주의 조선족 각계 인사들이 지난 5일 연길에서 방문취업제에 대한 좌담회를 열었다.
8일 연변통신에 따르면 동북아경제문화교류회와 연변아리랑서로돕기창업협회, 학계, 문화계, 언론계 인사들은 이날 좌담회에서 오는 3월4일부터 시행하는 방문취업제와 관련, 쿼터제는 동의하지만 한국어 시험과 추첨방식으로 대상을 선정하는 것은 타당치 못하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방문취업제는 중국과 옛 소련 지역 거주 동포 등에 대해 5년간 유효한 복수비자를 발급해 1차례 입국해 3년간 체류.취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진기술 을 습득한 뒤 거주국으로 돌아가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게 도와주는 제도이다.
이영숙 창업협회 회장은 “한국에 취업하려다 사기를 당한 피해 당사자들이 이번 방문취업 비자의 최우선 수혜자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작가 류연산 씨는 “한국은 국가적, 민족적 차원의 시각으로 접근해야 하며 조선족사회는 방문취업제를 중국 조선족사회의 발전을 추진할 수 있는 기회로 삼고 효과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류 씨는 “주요 수혜 대상은 조선족 인구의 86%를 차지하는 농촌과 그 중에서도 조선족사회의 인구와 미래를 결정하는 젊은층에 두어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연변대 허명철 교수는 “한국어 시험으로 대상을 선정할 때 시험형식과 내용 면에서 현재 실시하고 있는 중국 내 한국어 교육을 바탕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내용 선정이나 형식이 한국에 치우치면 농촌의 저학력 조선족들에게 불필요한 장벽이 될 수 있고, 이미 흔들리고 있는 현지 한국어 교육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조선족 사회는 방문취업제의 취지와 목적에 도달할 수 있도록 지금부터라도 준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