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부혼례복
원삼(圓衫)
고려시대부터 대례복으로 궁중녀인들과 신부의 웃옷으로 사용되었다. 황후는 황색, 왕비는 홍색, 비빈은 자색, 공주나 옹주는 록색원삼을 입었고, 그중 록색원삼이 서민층의 혼례식에 사용되었다. 민간 원삼에는 금박을 하지 않았다.
대대(大帶)
홍활옷이나 원삼을 입은 뒤 앞가슴께에 대대의 중앙이 오도록 대고 량쪽으로 돌려 뒤에서 묶어 늘어뜨린 허리띠로 색공단에 심을 넣어 만들어 금박무늬를 찍었다
앞댕기
쪽찐 비녀에 감아 드리워 족두리나 화관에서 어깨를 거쳐 웃옷까지 련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댕기. 검은 자주색 비단에 꽃무늬금박을 중앙과 량끝에 찍고 끝에는 구슬을 10개 정도 궤어 달았다.
도투락댕기
활옷이나 원삼을 입을 때에 화관이나 족두리에 맞춰 머리뒤로 늘어뜨리는 큰댕기. 검은 자주색 비단에 자수와 칠보로 화려하게 장식하여 만들었다. 지방에 따라 오색실을 붙이기도 하였다.
스란치마
대란치마
소례복에 스란치마를 입고, 대례복에 대란치마를 입었다.
금박무늬가 찍힌 천을 덧댄 스란단을 한층 붙인 것이 스란치마이고, 두층 붙인 것이 대란치마이다. 가례나 길례때는 남색 스란치마를 입었다.
족두리
몽고에서 녀인들이 외출할 때에 쓰던 일종의 모자였으나, 고려말 한국에 들어온 뒤로 모양이 왜소해져 머리장식품으로 변하였다. 궁중이나 량반집에서 의식용으로 소례복에 족두리를 썼다. 사치를 방지하기 위하여 모두 흑색에 장식을 제한하였다.
활옷(闊衣)
궁중의식에서 왕비가 입던 대례복으로 후에 서민의 혼례복으로 사용되었다.
홍색비단에 청색으로 안을 받쳐 만들었는데 이는 청색(녀성)과 홍색(남성)의 화합을 의미한다. 홍색천에 숭고함과 부귀, 장수를 상징하는 련꽃 모란꽃 십장생 등을 수놓아 만든 활옷은 앞이 짧고 뒤가 길며, 소매끝에 색동을 대고 흰색 한삼을 덧붙였다.
당의(唐衣)
왕비나 세자비, 공주 등의 소례복으로, 양반집 녀인들은 대례복으로 착용하였다. 록색비단에 홍색안감을 대거나, 자색비단에 분홍색 안을 대어 만든 겹옷으로 소매가 좁고 겨드랑이 밑에서부터 유연한 곡선으로 트였으며 밑도련은 반달모양을 이룬다. 왕실에서는 당의에 금박을 찍었으나 일반은 무늬없이 만들었다.
화관(花冠)
여러가지 보석으로 장식하여 활옷이나 당의를 입을 때 썼으며, 서민들은 혼례때만 사용이 허용되었다
신랑혼례복
사모관대
사모, 단령, 흉배, 목화의 관복일습. 친영을 위해 사모관대를 장속한다.
사모
검정색 실로 만들었으며 뒤쪽에 붙은 양쪽 날개에는 구름무늬를 넣었다.
단령
관직자의 평상복. 청색계통에 흉배를 달고, 학이나 구름등을 수놓았다.
목화
문무백관이 평상복에 신던 신발. 혼례때 서민들이 신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