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룡강신문=하얼빈 2007.01.04)
조선족의 신발
상대의 신발은 화(靴)와 이(履)로 나눌수 있다. 화(靴)는 목이 긴 신으로 방한과 방습에 적당하여 북방민족이 많이 사용하였고, 리(履)는 운두가 낮은 남방민족의 신이다.
통일신라시대의 화는 신분에 따라 재료가 달랐으며, 화대가 달려 있었다. 운두가 낮은 신발로 남녀가 모두 신었고, 남자의 것은 가죽으로, 녀자의 것은 계, 나 등으로 만들었다.
조선시대 들어서 종류가 매우 다양화되었는데, 조선의 남자신을 재료별로 구분하면 피혁제는 화로서는 흑피화, 협금화, 목화가 있고, 혜에는 흑피혜, 분투혜, 투혜, 피초혜, 태사혜, 발박신, 진신 등이 있었다.
초,마제에는 짚신이 서민남녀에게 일반적으로 공용되었고, 정제품은 사대부의 편복에 사용하기도 하였다.
포백제는 가죽에 포백으로 길을 댔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태사혜, 당혜, 운혜, 사 등을 말한다.
이 외에 유제, 지제, 목제가 있다.
조선시대 녀인들의 신에는 궁혜, 당혜, 운혜, 진신, 미투리, 짚신, 나막신 등이 있었으며, 그 재료로는 가죽, 비단, 아마, 짚, 나무를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