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룡강신문=하얼빈 2006.01.06)
지금 시장의 곳곳에는 각양각색의 외국산 제품들이 즐비하게 진렬되여 있다. 가전류든, 의류든, 식품류든 흔히는 외국산 제품이라 하면 대중들의 선호도가 국산품에 비해 높은건 더 말할것도 없고 그에 따른 숭배의식도 여간치가 않다. 길거리에서 한 녀사의 손에 쥐여진 멋진 핸드백을 보아도 틀림없이 외국젤거야! 하며 제멋대로의 생각을 굴리는가 하면 양식이 새로운 코트를 입고 나서도 적잖은 사람들은 한국서 산거죠? 하고 질문을 한다니 말이다.
우리 주변에서 있은 일이다. 외국나들이를 하고 돌아온 친구에게서 세탁기씌우개를 선물로 선사받고는 너무나 세련되고 폼나 보여 집으로 놀러오는 사람마다 꺼내보이며 자랑을 구구히 늘여놓던중 방학에 돌아온 대학생 아들한테서 우연히 영어글자 해석을 듣고는 너무도 어이없어 한동안 입만 벌리고 할말을 찾지 못했다는 이야기, 그래도 이런 이야기쯤은 심심풀이로 듣고 흘려보내면 되겠지만 우리가 매일 먹고 마시는 건강과 관련되는 식품에서는 그저 얼떨떨하게 지나버릴 일이 아닌것 같다.
할빈시 향방구에 사는 한 할머니는 교외에서 사업하는 아들내외가 저녁 먹으러 온다는 전화를 받고 근처에 있는 대형 슈퍼마켓에서 잘 포장된 외국산 고급 감람유 한통을 샀다. 드물게 오는 자식에게 맛있는 반찬을 먹이기 위해서였다. 아들내외가 들어서자 할머니는 지지고 볶고하여 한상 푸짐히 차린 상을 가리키며 모처럼 산 감람유를 자랑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식용유통의 설명서를 뜯어보던 아들이 뜻밖으로 하는 말, 스페인어로 중국산이라고 씌여있단다. 둥둥 뜨던 할머니의 기분은 엉망이 되여 버렸다.
외제품이라 하면 무조건 숭배하고 그저 좋을것으로만 믿는 허무한 소비심리에서 이런 결과들이 초래되고 있다. 지금은 우리 나라도 한해가 놀랍게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와 허다한 국산품은 가격이 싸면서도 외제품 못지 않게 질도 좋아가고 있다. 물론 외국제품은 아직도 상대적으로 질이 좋은건 분명하지만 10년전, 20년전의 생각을 세월이 변한 오늘도 그대로 품고 있다면 현실과는 많이 틀린 생각이 아닐수 없다.
그러므로 지금은 국산품과 외제품을 꼭 갈라놓고 생각할 일이 아니라 각자 나름대로 경제상황을 우선으로 놓고 물건을 고르거나 택해야 하는것이다. 그리고 외제품을 살 경우, 외국어를 몰라 설명서에 대한 파악이 없으면 피하는것이 상책이고 꼭 사야 한다면 반드시 외국어를 아는 사람을 통해 그 물건의 용도를 잘 장악한후에 사야 한다. 특히 외제품과의 접촉에서 우리는 항상 맹목적이 아닌 명석한 두뇌를 가져야만 명지한 처사일것이다.
외제품을 무턱대고 숭배하다간 손해보거나 골탕먹을건 당신 스스로일것이다./김춘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