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룡강신문=하얼빈 2007.01.04)
관례복은 어린이가 성인으로 되였다는 것을 표시하는 례식-관례때에 입는 례복을 말한다.
관례복은 초가, 재가, 삼가에 따라 그 종류가 다르다.
1. 초가복
사규삼-뒤솔기가 째진 것
륵조-허리에 띠는 띠로서 동혁으로 만든 것
채리-색헝컾으로 꾸민 신
망건
치관-검은 베로 만든 관
계-관에 꽂는 비녀 같은 것
심의-흰베로 두루마기모양으로 만들었는데 소매를 넓게 하고 검은 비단으로 가를 둘렀다. 백공단으로 만들기도 하였다.
대대-심의나 원삼우에 띠는 넓은 띠.
2. 재가복
초립
청포-푸른색 도포.
혁대-가죽으로 만든 띠.
혜
3. 삼가복
복두-사모같이 두 단으로 되고 뒤쪽의 좌우에 날개가 달렸으며 각이 지고 우가 평평한 관.
란삼-두루마기와 비슷한 겉옷인데 록색이나 검은빛갈의 단령에 각기 같은 빛깔의 선을 둘렀다.
화-목달린 신.
록조대-초록색실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