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기에 이르러 우리 민족의 옷차림은 커다란 발전을 가져왔다. 문헌에 의하면 고구려,백제, 신라의 옷차림은 비슷하였다. 현존문헌에는 고구려시기에 남자와 녀자가 평소에 입는 옷, 생산활동과 군사행동에 따르는 옷, 계급신분에 의해 구분되는 옷들에 대한 자료들이 많은데 이 자료들에 의하면 삼국시기의 옷차림풍습은 아래와 같다.
이 시기 남자옷의 기본종류는 바지, 저고리, 겉옷으로 구성되여있었다.
바지에는 크게 <<궁고>>와 <<대구고>> 두가지가 있었다. <<궁고>>는 행동에 편리한 통이 좁은 바지로서 인민들이 입는 바지였고 <<대구고>>는 위풍을 돋구기 위해 입는 통이 넓은 바지로서 지배계급들이 입는 바지였다. 이 시기 사람들 특히 고구려사람들은 사냥이나 전투에서 행동의 민활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좁은 바지우에 행전을 쳤다.
저고리는 길이가 양복저고리만 하고 앞은 완전히 터쳤으며 곧은 깃을 달고 소매끝깃, 도련에 선을 달았고 허리에는 띠를 매게 되였다. 옷섶은 왼섶, 오른섶이 있었는데 왼섶은 오른섶보다 앞선시기의것이였다. 저고리에는 또 팔소매통이 좁은것과 넓은 것, 선이 단조로운것과 화려한 것 등이 있었다. 이것은 계급신분상 차이에서 온 현상으로서 인민들은 생산활동에 편리하고 보기 좋은, 팔소매통이 좁고 선(보통 검은 천)이 단조로운 저고리를 입었으며 지배계급은 위풍을 나타내기 위하여 활동에 불편한 넓은 소매통과 선이 화려한 저고리를 입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