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40조 원 정도로 추정되는 막대한 지하경제를 양성화시키고, 소득의 형평과세를 목적으로 이 제도를 추진하였다. 한편으로는 1993년부터 1997년에 걸쳐 실행한 신경제5개년계획을 통해서 경제 개혁정책과 이중구조의 경제를 척결하려고 하였다.
문민정부는 이러한 계획을 통하여 그 동안 광범위하게 행해져 왔던 국가의 시장개입을 줄이고 민간경제 주체들의 자발적 경제운용을 나름대로 보장하려고 하였다.
이중구조의 경제체제를 척결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불합리한 정치·경제·사회 구조의 개혁이 중요하였다. 앞에서 본 금융실명제나 1995년에 실행된 부동산 실명거래 실시 등이 이런 개혁의 근간이었다. 문민정부는 이러한 경제개혁을 국내적으로 행해 나가는 동시에 대외적으로는 광범위한 시장개방을 시도하였다.
한국 국 내 경제력이 여러 가지의 외부적 요인으로 팽창하게 되자 성급하게 경제개발협력기구(OECD)에 가입하는 우를 범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과도한 개방정책과 경제 부문에 대한 정부의 갑작스런 규제 완화, 이에 편승한 국내 재벌의 외형 위주의 무절제한 국내외 투자, 생산성을 무시한 외생적 성장정책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문민경제의 종말은 결국 1997년 12월에 이르러 국제통화기금(IMF)의 지원을 받아야만 하는 경제체제로 전락하고 말았다.
2. 산업 부문별 변천과정 〔산업구조의 변화〕
일제강점기 때 최초로 식민지 경제침탈이라는 목적하에서 근대적 공업생산이 이루어졌으나, 공업시설들은 6·25전쟁으로 크게 파괴되었다. 전후 복구를 통해 산업은 점차 재건되기 시작하였고, 특히 1962년 정부 주도하에 경제개발5개년계획이 실시되면서 고도의 경제성장과 함께 공업 중심으로 산업구조의 재편이 이루어졌다.
취업인구는 1949년 1차·2차·3차산업에 각각 79.9%, 3.7%, 16.4%가 종사하고 있었다. 그러나 공업화가 진전된 1980년대에 들어오면서개 군2차산업 비중이 22.4%로 늘어나고, 3차산업도 43.4%로 되어 34.0%의 1차산업 취업인구를 압도하게 되었다. 1992년 현재 구성비는 1차·2차·3차산업이 각각 16.0%, 25.5%, 58.5%로 나타나고 있다.
산업구조의 변화는 국민총생산의 구성비에도 반영되었다. 1961년 1차산업이 전체 국민소득에서 38.7%를 차지하였다. 제4차 경제개발계획이 끝난 1982년 18.2%로 급격히 저하된 반면, 2차와 3차산업은 1961년 15.4%와 45.9%에서 1982년 35.4%와 46.6%로 각각 증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