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김대중 '6일 국장' 서울현충원 안장 |
|
|
|
|
|
|
|
23일 오후 2시 국회서 영결식
(흑룡강신문=하얼빈)김대중 전 대통령의 장례가 국장으로 엄수된다. 국장은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전 대통령 서거이후 30년만이다. 전직 대통령의 국장은 처음이다.
|
이어지는 추모행렬
19일 서울 시청광장에 마련된 고 김대중 전 대통령 분향소에 추모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한국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19일 서울시가 서울광장에 분향소를 차린것을 비롯해 전국 16개 광
역자치단체가 20곳의 분향소를 설치했다.기초자치단체별 분향소 설치도 잇따라 이날 오후 9시
현재 서울 동대문구를 비롯한 시, 군, 구 110곳에 차려졌다.전남 기초자치단체들은 목포역과 여
수시청 광장, 신안 하의면 사무소 등 총 24곳에 분향소를 설치했다.이날 분향소를 찾은 조문객은
5만3천여명으로 집계됐다. /련신
|
(흑룡강신문=하얼빈) 장례기간은 전 김대통령이 서거한 18일부터 23일까지 6일간으로, 장지는 서울 동작구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 국가원수묘역으로 결정됐다. 영결식은 23일 오후 2시 국회 앞마당에서 열린다. 장의위원장은 한승수국무총리가 맡기로 했다. 전 김대통령측은 자신들이 추천하는 인사가 한총리와 함께 공동 장의위원장을 맡기를 희망하는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19일 오후 한총리 주재로 림시 국무회의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 정부는 당초 전 김대통령 \측에 국민장을 권유했으나 전 김대통령측은 국장으로 해줄것을 요청했다.
전 김대통령의 장지는 협의끝에 국립서울현충원을 장지로 하되 '9일 이내'로 규정된 국장 기간을 6일로 단축하는 절충안에 합의했다. 이에 따라 별도의 공휴일 지정없이 일요일인 23일 영결식을 치르기로 했다.
이에 앞서 정부와 전 김대통령측, 국회는 협의를 거쳐 공식 빈소를 국회 앞마당으로 결정하고 20일 오후 2시경 빈소를 옮기기로 했다.
/신화사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