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한민족사회  
     
 
고향에 년간 천만여원을 벌어들이는 조선족마을
 
 
http://www.hljxinwen.cn
2013-11-25 16:55:33
 
     
 

  신민시 호대진 신홍조선족촌을 찾아서

  (흑룡강신문=하얼빈) 일전 우홍구 영풍조선족촌로인협회 김기창회장의 소개로 신민시 호대진 신홍(조선족촌의 박영산서기(65세)를 만났다. 그는 누구보다 동네상황을 손금보듯 알고있었다. 관전 하로하출신인데 1992년부터 지금까지 20년 넘게 서기사업을 맡고있다는 사실에 놀랐다. 1982년부터 옹근 10년은 촌주임으로, 더 앞서서는 1969년 촌단지부서기를 시작으로 민병련장 등 직무를 맡았는데 40년 남짓 마을건설에 심혈을 쏟아온 분이였다.

  “문혁”의 빛갈이 다분한 “신홍”이란 동네이름은 1967년에 새롭게 붙여진것. 동네 어르신네들은 아직도 신홍촌보다 조가포(조가보)에 더 익숙해있고 실제로 1958년부터 1967년까지는 조가보촌(趙家堡村)이라고 불렀었다. 신민시정부 지명판공실에서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신홍촌은 1934년에 설립, 당시 부근에 조씨집안의 무덤이 있어 조가총(趙家塚)"이라 불렀다. 이 마을이 1934년에 설립되였다고는 하지만 박영산서기에 따르면 그 이전에도 이 동네에 조선족들이 살고있었고 1911년에 설립된 부근 홍기촌에 한개 생산대로 귀속돼있었다.

  박서기는 “변찬수, 리정남 등 력대 서기들의 로고도 크지만 1967년 당시 호대공사(향) 부사장(부향장)으로 있던 리광(제대군인이였음)씨의 역할을 홀시할수 없다”고 말한다. 1955년 박영산씨가 부모님들을 따라 이곳에 이사와 호적을 올린 마을은 신홍촌이 아닌 이 마을과 1킬로메터 상거해있는 송가강(宋家崗)촌이였었다. 당시 송가강촌에 조선족들로 구성된 한개 생산대가 있었는데 1967년 리광씨가 조선족들은 한데 모여 살아야 한다며 송가강촌의 조선족생산대를 신홍촌에 귀속시켰고 조선족농호들이 다루던 400무의 수전도 신홍촌소유로 변경시켰던것이다. 현재 신홍촌은 수전 2,000무에 림지 200무를 소유하고있으며 매년 토지임대비를 촌민들에게 배분하고 있다고 한다.

  그는 이 2,000무의 수전과 200무의 림지는 어떠한 어려움이 있더라도 끝까지 고수해야 한다고 했다. 한것은 신홍촌이 이미 신민시정부의 소도시건설프로젝트규획안에 들어갔고 2011년에 주택지(宅基地) 206무가 징수되였기때문이다. 따라서 신홍촌은 신민시정부의 소도시건설프로젝트의 가동과 주택지 징수에 따른 상응한 혜택을 향수하게 되지만 후대들에게 농지만은 남겨주어야 한다는것이 그의 확고한 마음이다.

  소개에 따르면 관련규정에 따라 신홍촌 촌민들은 주택지에 한해 무당 3만 7,500원의 보상을 받는외 살림집을 소유하고있으면 크고작든간에 일률로 1만 6,800원을 지급받으며 동시에 호대진 소재지내 건설된 신축아빠트 입주시 아래와 같은 혜택을 받는다. 첫째, 원래 살던 살림집과 동등 평수의 아빠트를 배분받는다. 둘째, 아빠트 평수가 원래 살림집의 평수를 초과할 경우 5%의 초과평수는 무상 증정하고 초과평수 10평방메터이내는 평당 1,700원, 10평방메터 이상은 평당 3,500원을 더 지불하면 된다. 당지 아빠트가격이 4,000원대를 넘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히 큰 혜택이 아닐수 없다.

  박영산서기는 세세대대로 농지 2,000여무를 지켜낼수 있다면 정부의 소도시건설프로젝트는 “현대농업”, “도농통합”을 통한 신홍촌의 거족적인 발전에 유리하다고 피력했다.

  한국행도 이 마을에 엄청난 부를 창조해주었다. 한국로무로 한국에 나가있는 촌민들이 번 돈을 1인당 5만원으로 쳐도 1년에 약 1,500만원의 거액을 고향에 벌어들이는셈이니 촌민들에게 새로운 창업의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는것이다. 현유 179가구 583명 인구중 280여명이 한국에서 일하고있는데 촌민들 대부분 호대진이나 심양시에 아빠트 한채씩은 마련했다. 또 1967년에 설립되였던 조선족소학교도 1996년 페교되였지만 호대진에 신형의 도시속 조선족마을이 일떠선다면 우리 민족의 말과 전통을 지켜나갈수 있는데 유리한 조건이 마련되지 않겠냐는 생각도 해보았다.

  기자는 신홍촌 촌민들이 입주하게 될 아빠트단지를 둘러보며 이들에게 땅이 있고 자금이 있고 촌민들을 위해 동분서주하는 촌지도부가 있는, 불원간 일떠설 또 하나의 도심속 조선족마을의 아름다운 전경을 그려보았다.

출처: 료신

 
     
  | | |
| | | ·
| · | |
| | |
 
  Copyright @ hljxinwen.cn. All Rights Reserved